안녕하세요.날씨가 점점 싸늘해지고 있습니다.코로나 19때문에 감기에 걸려도 증상이 비슷하므로 구분이 잘안가니 꼭 몸관리 잘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오늘 개운한 수면시간에 대해 포스팅을 해볼려고 합니다.과연 잠을 많이 잔다고해서 피로감에 회복되고 개운해질까요? 수면하는 도중에는 사람의 뇌도 각성을 하며 휴식상태가 되는데요.뇌가 각성상태일때에 잠에서 깨게 된다면 몸이 개운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뇌가 휴식상태일때 일어난다면 신체에 무리가 와서 개운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그래서 이러한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한마디로 24시간동안 24시간을 자도 효율도 없으며 덜 자니만 못한것입니다.
개운한 수면시간 대공개!
그런데 사람은 억지로 뇌의 휴식상태에 일어날려고 합니다.뇌가 쉬어야하는 타이밍에 자신의 신체리듬을 깨고 일어나게 된다면 몸에 무리가오는것은 당연하고 분명 자고 일어났는데 머리가 아프고 동시에 피곤합니다.반면에 뇌가 각성상태에 일어난다면 와 눈이 금방금방 잘떠지네?오늘 뭔가 상쾌한데? 잘잤다 라는 기분을 가지게 됩니다.
그럼 도대체 어떻게 각성상태에 일어날수 있을까요?연구결과에서는 잠을 주무실때 시간을 맞춰서 90분 단위로 자야한다고 결과가 나왔습니다.그런데 아직 무슨말인지 잘모르시겠죠?한마디로 만약 내가 잠을 잔다면 대충 90분 단위로 끊어 2시간 15분에서 3시간 사이에 일어나는것이 1시간 30분에서 2시간 15분 사이에 일어나는게 더 효율적이라는 말입니다.
분명 첫번째가 수면시간이 물론 많지만 2번째가 90분단위이기 때문입니다.예시를 한개 더 들어보자면 3시간에서 3시간 45분 잔다면 3시간 45분에서 4시간 30분을 자는것이 더 효율적이고 몸이 신체리듬도 안깨지고 더 잘잤다고 느껴진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전문가 및 연구진들이 한가지 더 실험을 해보았습니다.뇌의 각성상태와 뇌의 휴식상태 각각 구분하여 만약 깨운다면 어떻게 될지 실험을 해보았는데 결과는 다들 예상하셨듯이 첫번째 각성상태에 깨우게 되면 실험자는 바로바로 깨어났습니다.하지만 두번째 뇌의 휴식상태일때 깨웠을때는 잠이 쉽게 깨지 못했습니다.
마무리
그래서 사람은 피로를 회복하기 위해 잠을자지만 뇌의 각성상태에 일어나게 된다면 더 기분좋은 하루를 보낼수 있다고 판명했습니다.이렇게 오늘 개운한 수면시간을 알아보았는데요.저는 많이 자면 잘수록 피로도 씻겨져 내려가고 좋을거라고 생각했는데 결과는 정반대라서 놀랐습니다.
수면의 시간이 중요한게 아니라 정말 일어나는 시간이 중요하다는점!다시한번 깨닫고 저도 꾸준히 실천하러 가겠습니다.그럼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오늘 하루도 마무리 잘하시길 바라겠습니다.